728x90
반응형
SMALL

지식정보/인물-역사-신화 42

알버트 피쉬 [Albert Fish ]

현 포스팅은 이야기하듯 반말로 쓰여집니다. 용서할 수 없는 악인 - 알버트 피쉬 [Albert Fish ] 포스팅을 하다보면 정말 혀를 내두를 정도이거나 혹은 정말 비열하다 생각하게 되더라도, 안쓰러운 유소년기를 보낸 싸이코패스들을 접하게 될 때면 그래도 측은지심이라는 게 간혹 생겨서 그들이 다른 환경에서 자랐다면 어땠을까.. 라며 안타까워 하기도 했던 것 같아. 그 대표적인 예가 예전에 포스팅했던 '메리 벨' 과 같은 사람들인데 그들은 그래도 어쩌면.. 이라는 생각에 마냥 미워할 순 없었어. 그런데 오늘 포스팅을 하게 될 알버트 피쉬 같은 인물은 정말이지 '두 번 다시 없을 악인' 이라는 생각은 물론, 절대 그 누구도 용서치 않았으면 좋겠다! 라는 기도까지 하게 되는 인물이야. 대부분의 싸이코패스들의 ..

달기

안녕하세요. 와우, 너무 늦었네요. 여러분들께서 듣고 싶은 이야기를 들고 찾아오려했으나, 많은 업무량과 개인적인 일로 인해 글도 늦어지고.... 자료도 충분하게 수집하지 못해 그간 미뤄왔던 이야기로 대체해요. 비공개로 되어있던 이야기였고, 예전에 네이트 판에 올렸던 이야기에요. 제 블로그가 재탕이 되는 일이 없게 하려고 진짜 시간을 내보려고 노력했었는데... 재탕 죄송하고요. 하지만 블로그엔 비공개로 저장해놨던 글이니 굳이 따지면 블로그에선 재탕이 아니... 죄송합니다. ㅠ 너무 미워하지 않으실거라 믿고요. 흑.. 아, 그리고 제 글을 퍼가시는 건 언제든 환영이에요. 얼마나 감사한 일이에요. 항상 읽어주시고 댓글 달아주시고 응원해주시는 모든 분들에게 큰 감사를 느끼지만, 제 글을 퍼서 날라주시는 분들에게..

어우동

부탁드립니다. 출처는 http://blog.naver.com/chlalsdud61 으로 꼭 밝혀주시면 감사하겠고, 글쓴이는 [웃는바보]입니다. 꼭 부탁드려요 ㅠ 어우동(또는 어을우동) 사전에 나와있는 말을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어우동(於于同)은 조선 성종 때 방탕한 생활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여성. 으로 소개되고있어. 어우동은 출생일은 명확하지 않지만 양갓집 자제로 부친은 승문원 지사 박윤창이고 종실 태강수 이동과 혼인했는데 나중에 천한 신분의 남자를 끌어들여 문란한 성관계를 맺고 이게 발각되서 이동에게 소박맞고는 당시의 여성들처럼 조용히 자숙하며 사는 게 아닌 수십 명의 조관 및 유생들과 난잡한 관계를 가졌고 야사에는 성종과도 관계를 갖는 사이라고 전해지지. 그래서 성종은 그녀의 일을 빨리 마무리 짓..

아그리피나

와우, 모두들 안녕하세요. 뻔뻔하게 재탕 들고 온!! 저에요!! 다들 맛점들 하셨나요? 저도 지금 점심씹고 짬이 나서 재탕들 뙇!! 들고 나타났죠!! 재탕들을 보니까 정말 어마어마하게 오타들이 많더라구요. 아침에 출근하며 얼마나 웃었던지.. 오타는 그냥 눈 질끈 감고 봐주실꺼죠? ^^ 감사합니다! 자, 그럼 3번째 재탕!! 두둥 갑뉘다!! 부탁드립니다. 출처는 http://blog.naver.com/chlalsdud61 으로 꼭 밝혀주시면 감사하겠고, 글쓴이는 [웃는바보]입니다. 꼭 부탁드려요 희대의 요부 - 아그리피나 음, 일단 그녀에 기본 지식부터 시작하자. 서기 16년 11월 6일(또는 서기 15년 11월 7일)에 우비족의 수도이며 동맹시였던 현재의 쾰른에서 아버지 게르마니쿠스 장군과 어머니 빕사니..

에드먼드 캠퍼

안녕하세요! 오늘도 짬내서 뻔뻔한 재탕 마지막! 4탄! 앞으로 재탕은 없을거에요 ^^;; 이 글이 무단으로 불펌당한 글이구요. 제글은 판에 올린지 10여분 만에 블라인드를 먹었었는데 불펌글은 베스트에까지 오르더군요. ㅠ 나쁜 네이트 운영자. 흑. 무튼, 불펌하지 말아주세요. 펌은 감사하나 꼭 출처는 http://blog.naver.com/chlalsdud61 로 밝혀주시고 글쓴이는 [웃는바보] 입니다. 제2의 인물탐구 - 전형적인 사이코패스 에드먼드 켐퍼 세상을 경악하게 만든 살인범들 중에는 정말 많은 사람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 당당하게 우리나라의 '유영철'이 잔인하고 극악무도한 인물 19위에 올랐다면 이게 과연 웃어야 될 일인지 울어야 될인지 구분을 못하는 바보는 없겠지? 지금 이야기하게 될 에드먼..

겨레의 빛[1] 그 이름마저 숭고한 유관순 열사

안녕하세요. 많이 추워진 날씨에 다들 감기는 걸리지 않으셨나요? 요즘 폐렴이 기승을 부린다죠? 전 세상과 거의 단절된 삶을 살아가고 있어서.. 밖에 날씨도 쓰레기 버릴 때나 조금 느낄 뿐, ㅎㅎㅎ 아주 오랜만에 인사드리는 [웃는바보]에요. 늦어도 너무 늦었네요. 출산과 육아로 정신없는 시간을 보내다 보니, 블로그 포스팅은 제게 그저 사치였어요. 아직 결혼하지 않으신 미혼분들, 꼭 참고하세요. 아가는 저절로 크는 것이 아닙니다. 엄마와 아빠의 고된 희생이 따라야 크는 것이더라고요. ㅎㅎ 엄마인 저는 밤잠과 건강을 포기해야했고, 아빠인 뚱보는 여가 시간과 건강을 포기해야했죠. 이제 갓 150일을 넘긴 저희 아가는 무럭무럭 자라서 단 100일만에 9키로를 찍는 쾌거(?)를 이뤄냈고요. 저와 뚱보는 노안을 얻는..

이동식

Your Title Your Body :) 안녕하세요. 와우, 너무 늦었네요. 부탁드립니다. 출처는 http://blog.naver.com/chlalsdud61 으로 꼭 밝혀주시면 감사하겠고,글쓴이는 [웃는바보]입니다. 꼭 부탁드려요 ㅠ 큰걸음으로 저희 앞으로 불쑥 찾아온 봄날씨에 조금 나른한 하루를 보내고 계실텐데요.감기 조심하세요. 현 포스팅은 언제나처럼 이야기하듯 반말로 쓰여집니다. 자, 그럼 '죽는 순간처럼 아름다운 것은 없다.' 라고 말한 싸이코패스 사진작가의 이야기 지금 시작합니다. 모든 사진은 사실적으로 찍혀야한다. - 싸이코패스 사진작가 이동식. 세상을 살다보면 남들과는 다른 것에서 매력을 느끼는 이들을 종종 발견하곤 하는데, 우리는 그들을 그저 나와는 다른 개성을 가진 이들이라고 생각하고..

제우스의 아버지, 크로노스(Kronos)

한참을 고민해서 만든 카테고리, 그만큼 심혈을 기울일 예정인 이 포스팅들. 자, 이제 시작합니다. 크로노스(Kronos) 태초신인 우라노스(하늘)와 가이아(대지)가 낳은 막내아들로 티탄족에 속하며 티탄신족 가운데 최연소의 신이다.크로노스는 누이 레아(대지의 신)를 아내로 삼아, 그녀와의 사이에서 헤스티아, 데메테르, 헤라, 하데스, 포세이돈, 제우스등의 6명을 낳았다.또한 올림포스 신들의 제왕인 제우스의 아버지이기도 하며, 자신의 자식들을 먹어치운 악질인 왕으로도 유명하다. 아이러니 하게도 그가 아버지를 배신하고 지배하게 된 크로노스의 시대는 인류의 황금시대로, 싸움이 없고 죄악도 모르는 그야말고 '태평성대'였다고 한다. 기원전 8세기 말에 활동한 그리스의 시인 헤시오도스의 따라면 이들 3대 부자의 관계..

메데이아 컴플렉스[Medeia Complex]

현 포스팅은 사회의 이슈, 혹은 우리가 알면 좋은 것들에 대한 포스팅이 될 예정이다. 현재를 살아가는 모든 현대인들은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있고 많은 편의들에 익숙해져있다. 하지만 장점이 있으면 단점 또한 존재하는 법. 편의만이 추구되는 세상에서 살면서 병들어가는 마음에 치유하는 공간이 되었으면 하는 작은 바램을 가져본다. 메데이아 컴플렉스[Medeia Complex] Part.1 메데이아 컴플렉스의 유래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메데이아(Medeia)는 태양신 헬리오스(Helios)의 아들이며 콜키스의 왕인 아이에테스(Aeetes)의 딸로,마법의 능력을 지닌 여인이었다. 오디세우스 일행을 곤혹스럽게 한 아름다운 마녀 키르케(Kifke)가 바로 그녀의 고모 된다.메데이아에 관한 가장 유명한 일화는 그..

소아성애자, 로리타 증후군[Lolita syndrome]

소아성애자[Pedophilia], 혹은 로리타 증후군[Lolita syndrome] Part 1. 용어정리 소아성애증 [Pedophilia]은 어린 아이에게 성적 매력을 느끼는 성적 도착증의 일종으로, 소아성애로 진단 받은 사람은 소아성애자라 불리며 소아성애자라는 표현은 의학적 진단을 받지 않더라도 소아를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사용되기도한다. 소아성애증은 다른 말로 표현되기도 하는데 그것은 로리타 증후군[Lolita syndrome]으로 표현된다. 로리타 증후군은 러시아 태생의 미국 소설가인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imir Nabokov : 1899∼1977)가 1955년에 발표한 소설'로리타(Lolita)에서 유래한 용어로, 소아성애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표현되는 말이다. 소설 로리..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