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T 687

스위치 설정

안녕하세요 뚱보프로그래머 입니다. 스위치에 기본 설정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 스위치에 설정 모드 스위치의 모드는 이용자 모드, 관리자 모드 및 다양한 설정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콘솔이나 텔넷으로 스위치에 접속하면 이용자 모드(user mode)로 들어간다. 이용자 모드에서는 스위치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명령어만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 모드에서는 프롬프트가 다음처럼 '>' 로 끝난다. 스위치의 이용자 모드 프롬프트 관리자 모드(privilege mode)는 이용자 모드에서 enable 명령어를 사용하면 들어갈 수 있다. 관리자 모드에서는 스위치에 모든 일을 할 수 있다. 관리자 모드의 기본적인 프롬프트는 '#' 로 끝난다. 스위치의 관리자 모드 프롬프트 설정 모드(configuration mode..

네트워크 실습

안녕하세요 뚱보프로그램 입니다. 네트워크 관련 실습을 해보려고 합니다. 실습할 네트워크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위치 SW1은 시스코의 카탈리스트 3750, SW2와 SW3은 카탈리스트 3560, 스위치 SW4는 카탈리스트 3550을 사용하였다. 실습 네트워크가 약간 복잡하게 보일 수 도 있으나, 이렇게 구성하면 스위치와 관련된 대부분의 이론은 실습으로 확인해 볼 수 있어 좋다. 본서 끝까지 동일한 구성을 사용할 것이므로 이론을 읽어가는 동안 곧 실습 네트워크에 익숙해 질 것이다. 실습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자. 각 스위치들은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 SW1의 F1/0/14, F1/0/15 포트는 스위치 SW2의 F0/14, F0/15 포트와 연결되어 있고,..

허브, 스위치 및 라우터 차이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 입니다. 허브, 스위치 및 라우터의 차이에 대해 적어봅니다. 리피터, 허브, 브리지, L2 스위치, 라우터, L3 스위치 등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비들의 차이를 알아보자. 리비터와 허브를 레이어 1 장비라고 한다. 또, 브리지, 스위치를 레이어 2 장비, 라우터, L3 스위치를 레이어 3 장비라고 한다. 현재 리피터는 허브에게, 브리지는 스위치에게 그 역할을 알려주고 퇴장한 장비들이다. 또, L2 스위치는 그 하위 레이어 장비인 허브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L3 스위치는 L2 스위치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허브 대신에 L2 스위치나 L3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L2 스위치 대신에 L3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문제는 상위 계층의 장비일수록 가격이..

LLC 란

안녕하세요 뚱보프로그래머 입니다. LLC란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IEEE802.2 프로콜콜을 LLC라고 한다. LLC(logical link control) 계층은 두 장비간에 링크를 설정하고,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방식과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LLC는 동작방식 타입이 세가지가 있으며, 각각 LLC 타입 1, 2, 3이 라고 한다. - LLC 타입 1 LLC 타입 1은 ACK('에크' 라고 발음함)를 사용하지 않는 비연결형 모드(unacknowlefged connectionless mode)라고도 한다. ACK(acknowledgement)는 상대가 보낸 PDU를 잘 받았음을 알려주는 것을 말한다. PDU(protocol date unit)는 프레임, 패킷, 세그먼트 등과 같..

이더넷 MAC 서브계층

안녕하세요 뚱보프로그래머 입니다. 이더넷 MAC 서브계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EEE 802.3 MAC 서브계층은 프레임 포멧, 이더넷 동작방식, 충돌감지 및 재전송 방식 등을 정의한다. 먼저 이더넷의 포맷, 동작방식 등에 대해서 알아보자 - 이더넷 프레임 포맷 이더넷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포멧(format)은 다음과같다. 이더넷 프레임 각 필드의 내용 및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자. * 프리엠블 프리엠블(preemble)은 10101010이 반복되는 7바이트 길이의 필드이며, 수신측에게 이더넷 프레임이 전송된다는 것을 알리고, 이제 곧 도착할 이더넷 프레임에서 0과 1을 제대로 구분할 수 있도록 동기(synchronization)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이더넷은 동기를 위한 별도의 클락..

이더넷 물리계층

안녕하세요 뚱보프로그래머 입니다. 이더넷이란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이더넷(ethernet)은 LAN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1980년에 DEC, 인텔 및 제록스가 공동으로 개발한 이더넷 1을 기반으로 1985년 IEEE에서 IEEE802.3이라는 표준을 발표했다. 엄밀히 말하면 이더넷은 속도가 10Mbps만 지원되고, 프레임의 구조도 IEEE 802.3과 조금 다르다. 그러나, 대부분 이더넷과 IEEE 802.3을 혼용해서 구분없이 사용한다.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가 다양한 장비를 통해 연결되므로 장비간의 호환성이 중요하다.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조업체들은 표준을 따른다. 이같이 네트워크 장비의 동작방식을 규정해 놓은 것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네트워크 관련 표준을 만드는 단..

네트워킹 종류

안녕하세요 뚱보프로그래머 입니다. 네트워크 종류에 대해 간단히 설명합니다. - WAN => 넓은 지역의 네트워킹에서도 중간에 통신 회사를 통해서 네트워킹을 구축할때사용 => 사용하는 목적, 사용료, 거리,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 - 전용선 방식(Leased Line) : 임대회선으로 볼수있음. 회신을 나 혼자 빌려쓰는것임 비용이 비쌈 - 회선 스위칭 방식(Ciircuit Switched) : 내가 통신을 하는 순간에만 나에게 필요한 회신을 열어주고 통신이 끝나면 회수하는 방식. 전화와동일 - 패킷 스위칭 방식(Packet Switched) : 패킷 하나하나가 나누어서 통신회신을 타고 목적지까지 전달 버추얼서킷 : 사실은 나에게 배정된 회선이 없는데 있는것처럼 통신하는 방식을 이용함. ex) 프레임 ..

라우터 기능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 입니다. 라우터에 대해 좀더 알아 봅니다. - 네트워트 접근 제어 액세스 리스트(Access List) => 액세스 리스트 - 접근을 하게 해줄까 말까를 미리 정해놓은 리스트라고 할수있다. => 주로 보안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 이 액세스 리스트가 모든 침입자를 완벽하게 막지 못하기 때문에 보안장비를 따로 둔다. a. 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Standard Access List) - 일반적이고 쉬움 - 출입통제를 할 때 출발지 주소만을 참고해서 제어 - 어디서 왔는가를 본 다음 통과 여부를 결정함 b.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Extended Access List) - 복잡 다이나믹 액세스 리스트라고도함 - 출발지, 목적지, 프로토콜, 사용포트번호등 다 본 다음에 통과 ..

IPX 란

안녕하세요 뚱보프로그래머 입니다. IPX에 대한 이야기를 드립니다. - 노벨의 IPX 프로토콜 => TCP/IP처럼 라우티드 프로토콜이다 => IP프로토콜과의 차이점은 IP는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IPX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됨. - SAP(Service Advertising Protocol) =>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을 모든 네트웨어 서버나 라우터들과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해서 정보 공유 => SAP에 관련된 브로드캐스트는 매 60초마다 발생 => 네트워크 상에 있는 PC들 역시 SAP 브로드캐스트 질의를 보내고 또 그 질의에 해당하는 답변을 받음으로써 네트워크 상에 있는 IPX/ SPX 서비스를 인식 => 모든 정보가 SAP를 타고 전송되기 때문에 SAP 필터링이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 GN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