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T 687

[Kubernetes] 쿠버네티스 "coredns CrashLoopBackOff", "x.x.x.x:443: connect: no route to host" 에러 (firewalld)

쿠버네티스 "coredns CrashLoopBackOff", "10.96.0.1:443: connect: no route to host" 에러 (firewalld) 아래와 같이 corends CrashLoopBackOff가 발생하며 Pod Log를 확인했을때 "10.96.0.1:443: connect: no route to host" 에러가 발생할 경우 firewalld가 실행중인것은 아닌지 확인해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watch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kubectl -n kube-system logs -f coredns-74ff55c5b-k6jm6 저의 경우 아래 명령들을 통해 에러가 해결되었습니다. systemctl stop firewalld systemctl s..

[Kubernetes]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

환경 on premise 서버 4대 전부 Ubuntu 18.04 RAM 4GB(ESXI) 구성방식 네트워크 구성은 같은 대역을 가진다. 앞으로의 설명을 위해 IP 셋팅은 다음과 같이 가정한다. 마스터 노드: 192.168.10.151 워커 노드1: 192.168.10.152 워커 노드2: 192.168.10.153 워커 노드3: 192.168.10.154 이러한 구성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쉽게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kubeadm이라는 도구를 통해 클러스터 설치를 구현한다. 목표는 클러스터를 구축 후 간단한 웹 서버들을 파드(pod) 형태로 띄워보는 것을 테스트 해보는 것으로 한다. 사전작업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서버 구축을 하기에 앞서 각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가 될 서버들에 아래의 작업들을 해줬..

Kubernetes #3. 쿠버네티스 Unable to connect to the server: x509 에러

개요 쿠버네티스 Unable to connect to the server x509 에러 kubernetes x509 에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설치를 성공적으로 진행하던중 갑자기 노드들의 상태 확인이 불가한 딥빡의 상황이 펼쳐졌다.🤨 해결과정 쿠버네티스의 마스터노드와 워커노드의 연결을 확인하려 $ kubectl get nodes 를 입력했을 시, Error saying “Unable to connect to the server: x509: certificate signed by unknown authority” 이런 에러가 뜨는 경우가 있다. 원인은 다양한것 같은데 필자가 참고해서 해결했던 방법은 아래와 같다. (systemctl stop ufw -> systemctl disable ufw) : 방화벽도..

[Docker/도커] Job for docker.service failed because the control process exited with error code 오류 해결 과정

최근 회사에서 팀을 옮기면서 도커(Docker)를 드디어 사용해보게 되었다. 말로만 많이 들었지 직접 사용해 보는 건 처음이라서 삽질이란 삽질은 다 하는 중이다. 오늘은 그중에서 아래 오류가 발생해서 여기저기 뒤져가며 겨우 해결한 과정을 적어보고자 한다. 나중에 또 삽질하지 않기 위해서! Job for docker.service failed because the control process exited with error code. See "systemctl status docker.service" and "journalctl -xe" for details. 도커 데몬 실행 문제 발생 $ docker ps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

[Docker] Ubuntu에 Docker 설치하기

설치 전 확인 사항 커널 버전 확인: 리눅스 커널이 최소 3.10 버전 이상이어야한다. 아래와 같이 확인 가능하다. $ uname -r >> ''' 3.10.0-327.13.1.e17.x86_64 ''' sudo 권한 혹은 root 권한을 소유한 계정에서 설치 진행 최신 배포판 OS인지 확인. 2020년 10월 기준 우분투 16.04, 18.04(LTS), 20.04(LTS) 지원 22년 2월 기준으로 확인결과, 2021년 4월 30일부터 우분투 16.04 LTS는 더 이상의 도커 릴리즈 지원이 종료되었다. 또한 우분투 21.04, 21.10에 대한 지원을 한다. 64비트 운영체제 확인. 32비트에서는 돌아가지 않는다. 본문에서는 도커 설치에 대한 3~4가지 설치 방식을 제안한다. 일반설치, 특정버전 설..

[Docker] Package 'docker-ce' has no installation candidate 에러

Package 'docker-ce' has no installation candidate 에러가 나온다면 아래 명령어를 실행해보는걸 추천한다.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apt-key add - sudo add-apt-repository "deb [arch=amd64]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 $(lsb_release -cs) stable"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docker-ce 많은 방법이 있었지만 필자는 위 방법으로 docker-ce 를 설치했다. 출처 : [Docker] Package 'docker-ce' has n..

우분투, root 권한으로 로그인하는 방법

단순히 root 권한으로 작업을 하고 싶은 거라면? (아예 root로 로그인을 하고 싶은 거라면 다음 단락부터 보세요.)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root 계정 로그인은 막아 뒀다. 그러나 터미널에 sudo 명령어 형식으로 쓰면 root 권한으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터미널에서 sudo nautilus 식으로 실행하면 root 계정으로 GUI 탐색도 할 수 있다(nautilus는 우분투의 파일 탐색기다). 터미널에서 아예 root 계정으로 작업하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를 치면 된다. sudo su 그러면 암호를 묻는데, 내 계정의 암호를 입력하면 root 계정으로 전환된다. 아예 GUI에서도 root로 로그인을 허용하는 방법 특수한 조건이라 아예 root로 로그인해야 하는 경우에는 아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Ubuntu(20.04 LTS) SSH 접속 허용하기

openssh-server 패키지 설치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확인~ $ sudo systemctl status ssh 만약 ufw사용중이라면 ssh를 허용해준다 $ sudo ufw allow ssh 접속 시도 $ root@ipaddress * ip주소 확인하는 방법 (웬만하면 고정 IP설정하는 것을 추천) 더이상.. ifconfig는 쓰지 않는다 합니다... 띠로리 $ ip a 안되면.. 설정을 바꿔준다 $ sudo vi /etc/ssh/sshd_config PermitRootLogin설정 값을 yes로 변경! PermitRootLogin yes 그리고 ssh 재시작 $ sudo systemctl restart ssh $ sudo s..

[Ubuntu 18.04] 고정 IP 설정하기

subtitle: ubuntu 가상 머신의 IP를 고정하는 방법 #17 이상부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이 ‘NetPlan’으로 변경되었다. #그 아래 버전일 경우엔 이 방법이 아닌 /etc/network의 interfaces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이 방법은 18.04 버전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다른 버전에서는 방법이 다를 수 있음을 알린다. 고정 ip를 설정하기 전에, 우선 나의 이더넷의 이름을 알아야 한다. $ ifconfig -a [그림 1] 이더넷 이름 확인하기 내 이더넷 이름은 “ens33” 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netplan 디렉터리로 들어간다. $ cd /etc/netplan 디렉터리 안의 있는 문서를 확인하기 위해 ls -a를 사용한다. $ ls -a [그림 2] 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