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774

Linux_리눅스 history특징 / 디렉토리구조

리눅스 history특징 / 디렉토리구조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쉘에 대한 이해와 명령어에 대한 이해 쉘이란 명령어 해석기로써 커널과 사용자 중간에 위치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해서 커널에 전달한다. 커널은 쉘에서 전달받은 명령어로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사용자 -> 쉘 -> 커널 -> 하드웨어 쉘의 종류 : Bash Shell, Bourne Shell, Korn Shell, C Shell, TC Shell 가장 많이 사용되는 리눅스 쉘 Bourne Shell 을 기반으로 하며 C Shell 과 Korn Shell 의 장점을 결합해서 명령어 히스토리, 명령어 완성기능 명령어 치환, 명령행 편집등을 지원하고 POSIX와도 호환된다. - 명령행 편집 기능 ( ^ : Ctrl..

[CentOS 7] Linux NFS 구축하기 / 리눅스 서버 클라이언트 디렉터리

> 1. nfs 설치 rpm -qa nfs-utils 2. 공유할 폴더 지정 리스트 확인, 공유폴더 리스트 만들기 vi /etc/exports 2-1. exports 내에 아래와 같이 / 아래 share라는 폴더를 리스트에 넣기 * : 214망에 있는 모든 PC에 연결 rw : read, write 권한 설정 sync : 실시간 동기화 설정 /share 192.168.214.*(rw,sync) vi 텍스트 편집기로 입력 2-2. / 아래 share 디렉터리 생성 mkdir /share 2-3. 디렉터리에 권한 부여 (일반 사용자 읽고 쓰기 가능) chmod 707 /share 2-4. exports의 수정 내용 반영 exportfs -r 3. 서비스 가동 systemctl start nfs-server ..

BitLocker 복구란 무엇이며 Windows 11에서 복구 키를 찾는 방법

Windows 11에서 BitLocker 복구 키를 찾고 있다면 Microsoft 계정에 저장되거나 USB 드라이브에 저장되거나 파일에 저장되거나 종이에 인쇄될 수 있습니다. BitLocker는 Vista 이후 모든 Windows 버전에 포함된 내장 암호화 기능입니다. 전체 하드 드라이브를 암호화하여 무단 액세스로부터 파일과 데이터를 보호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암호화된 드라이브는 해당 드라이브에서 Bitlocker 드라이브 암호화를 켤 때 설정한 암호 또는 스마트 카드로만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 적절한 인증 없이 암호화된 드라이브에 액세스하려고 하면 액세스가 거부됩니다. 그러나 암호/PIN을 잊어버렸거나 스마트 카드를 분실한 경우 BitLocker 복구 키를 사용하여 BitLocker로 암호화된 ..

IT/Windows 2022.09.16

Windows 10, 11 Bitlocker 복구 키 확인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요.

장치 암호화(bitlocker)는 드라이브 암호화 기능으로 기기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한 경우, 파일과 폴더에 대한 접근을 막을 수 있습니다. 드라이브에 자물쇠 모양이 표시되는 경우 장치 암호화를 사용하고 있는 중입니다. 장치 암호화가 켜져 있으면 외장 저장 장치로 시스템 이미지 백업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USB 메모리를 이용하여 부팅 시 bitlocker 복구키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S계정으로 로그인하여 BitLocker 복구키 확인 방법 1) 스마트 폰이나 주변의 다른PC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장치암호화(BitLocker) 복구키 사이트에 접속하세요. 2) MS계정(e-mail형식)을 입력하세요. 3) MS계정의 암호를 입력하세요. 4) 다른 장치에서 MS계정을 로그인 ..

IT/Windows 2022.09.16

[노트북] 문제 해결 - 전원을 켠 후 BitLocker 복구 화면이 나타나는 경우 해결 방법

전원을 켠 후 컴퓨터에 BitLocker 복구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HDD/SDD가 암호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복구 키를 제공해야 합니다. 다음 문제 해결 단계를 참조하세요. 복구 키를 입력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없는 경우, 다른 방법은 운영 체제 재설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참고: BitLocker는 Microsoft 암호화 보안 제품으로 ASUS는 복구 키를 저장하거나 제공할 수 없습니다. ASUS는 Microsoft BitLocker 복구 키 프로세스를 우회할 수 없습니다. 참고: HDD/SSD가 장치 암호화 또는 표준 BitLocker 암호화를 사용한 경우 HDD/SSD가 보호되면 다음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장치 암호화 및 표준 BitLocker 암호..

IT/Windows 2022.09.16

[MacOS] 스크롤바 항상 보이게 하는법

맥북을 쓸 때 기본적으로 스크롤바가 숨겨져있고, 마우스나 트랙패드로 휠을 할때 잠깐 나왔다가 사라집니다. 화면에 표시하는 양을 늘리는 효과가 있지만 웹페이지가 상하로 길게 있는 경우 마우스 휠이나 트랙패드만으로는 맨 밑까지 내려간다든가 하는게 번거롭기 때문에 스크롤바를 클릭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스크롤바가 자꾸 쏙 사라지니까 스크롤바 클릭하기가 힘듭니다. 스크롤바가 항상 나오게 바꿔봅시다. '시스템 환경설정 - 일반'으로 들어갑니다 스크롤 막대 보기를 "항상"으로 체크해줍니다. 그러면 이제 모든 앱에서 스크롤이 존재하는 경우 스크롤 막대가 항상 표시됩니다. 좌우, 상하 모두 표시됩니다. 출처 : [MacOS] 스크롤바 항상 보이게 하는법 (tistory.com)

IT/Windows 2022.09.08

MSSQL 서버 최대 메모리 설정하기 / 메모리 할당 관련

MSSQL을 사용하고 있고 DB 전용 서버를 구축하고 있는 고객사에서 메모리 과부하 증상으로 원격 점검을 시행했다. 현상 분석 1.DB 서버의 전체 용량은 32G였으며, 점검 당시 약 30G의 메모리를 SQL Server에서 독점하고 있었다. 2.SQLServer 내 최대 메모리 설정은 29000MB로 설정되어 있었다. 메모리가 항상 이렇게 가득 차있어서 점검 요청을 한 것이고, 결론적으로는 '최대로 설정한 메모리만큼 가득 차 있고, 메모리 부족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는 '정상'이다!' 하지만 가득 차도 너무 가득 차서(30G/32G), 자칫 하면 메모리 부족 에러로 갈 수 있는 상황이였기 때문에 조치를 취했다. 여기서 드는 의문점 1) 최대 메모리 설정을 29G로 했는데, 왜 이를 넘어섰을까? 최대..

IT/SQLD 2022.09.06

msvcp110.dll 오류 해결 방안 2가지

출처 : 직접 캡처 출처 : 직접 캡처 윈도우10 업데이트 또는 윈도우11 업데이트 후에 게임이나 포토샵에 나타나는 오류 중 msvcp110.dll 오류가 나와 곤혹을 치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이 오류 경우는 데스크탑 및 노트북을 강제로 끄거나 아니면 간혹 윈도우 업데이트시 msvcp110.dll이 손상이 되어 발생되는 오류입니다. 이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 2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마이크로소프트 Visual Studio 2012 기능 패키지 다운로드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30679 Download Visual Studio 2012 업데이트 4용 Visual C++ 재배포 가능 ..

IT/Windows 2022.09.05

VMWARE에 윈도우10 설치하기

VMware 에 윈도우10 설치하기 VMware가 설치되었다는 가정하에 작성하겠습니다. ▲ 우선 ISO 파일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windows10 을 검색 하고 두번째 보이는 "Windows 10 다운로드" 로 들어가시 거나 클 릭 ← 이 곳에 링크를 걸어 놓았으니 눌러서 들어가셔도 됩니다. ▲ 들어가서 "지금 도구 다운로드" 항목을 눌러줍니다. ▲ 그러면 이렇게 "MediaCreationTool.exe" 라는 파일을 저장할 위치를 선택하라고 나옵니다. 아무 위치나 지정해주셔도 됩니다. ▲ 다운 받으면 이렇게 파일이 나타납니다. ▲ 위에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이러한 창이 뜨는데 동의 를 눌러 줍니다. ▲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를 선택하시고 다음 을 눌러줍니다. ▲ 그러면 언어와 버전 그리고 아키텍처를 ..

IT/Windows 2022.08.0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