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T 685

CentOS 에서 X관련 삭제..

VMServer상에 이미 설치되서 돌아가고 있던 스냅샷을 복제해서 새로운 서버를 설치하는걸 날로 먹으려고 했다... 니 의도는 참신했으나.. 결과는 참담하리라... 인가.. X와 관련해서 init: Id "x" respawning too fast: disabled for 5 minutes 라는 매시지를 내며 X에 진입을 못한다... 뭐.. 서버로 쓸놈이 X서버가 뭔 필요가 있는가 싶지만... JFreeChart를 사용할 경우나 Oracle을 설치할때는 X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냥 깔아 놓은 것이니.. (운영에서 퍼포먼스를 요구하는것도 아니고 개발용인데... 편한게 장땡이다... 어차피 쓰진 않지만...) 그래 어차피 쓰지 않으니까 다 지우자... 응??? 명령어가 뭐였더라.. ㅡㅡㅋ; 이놈의 휘발성....

[리눅스] GUI, CLI 환경으로 변경 방법

이번에 포스팅할 내용은 리눅스 GUI환경에서 CLI환경으로 바꾸는 방법에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바꾸는 방법은 한가지 파일만 수정하면 되므로 쉽습니다.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순서 주석 처리 수정 주석 제거 CLI 환경 적용 GUI 환경으로 돌아가기 이번 포스팅은 /etc/default/grub 파일만을 다룹니다. 1. 주석 처리 GRUB_CMDLINE_LINUX_DEFAULT 라인을 주석처리합니다. 2. 수정 GRUB_CMDLINE_LINUX 라인을 GRUB_CMDLINE_LINUX="text" 로 수정합니다. 3. 주석 제거 \#GRUB_TERMINAL=console' 라인에 주석을 제거하여 'GRUB_TERMINAL=console' 로 수정 여기까지 파일 수정은 끝이났습니다. :wq명령어 혹은 쓰..

VMware에 맥 os catalina 설치

[1] 테스트 환경 하드웨어 : 조립 데스크탑(cpu : i7-5820k, graphic : nvidia gtx 970, RAM ddr4 16GB, 보조기억장치 : 500GB SSD, 4TB HDD) OS : 윈도우 10 64bit software : VMware Workstation 16 PRO 가상 OS : Mac OS catalina [2] 사전 준비 (1) 가상화 지원 확인 및 설정 컴퓨터가 가상화를 지원하는지 확인 해야한다. https://leomoon.com/downloads/desktop-apps/leomoon-cpu-v/ LeoMoon CPU-V Introduction LeoMoon CPU-V is the only application on the Internet... leomoon.com..

VMware Workstation 15.5 + MacOS Unlock

VMware Workstation + MacOS Unlock VMware Workstation은 거의 모든 가상 OS를 설치 할 수 있지만 유일하게 MAC OS는 정품을 구입하더라도 리스트 자체에 없기 때문에 설치가 불가능 합니다. 그러나 GitHub 에서 활동하는 [Paolo] 개발자에 의해 MAC OS 설치 할 수 있도록 리스트 언락 해제 하는 비공식 패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제해서 리스트에 나온다는건 프로그램 내부 자체에 있다는 뜻인데 안나오게 한다는건 서로간의 라이센스 문제가 있는걸까요? 그럼 해제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 준비물 1. Workstation Pro / Player 프로그램 [설치 포스팅 참고 클릭] 2. 언락커[Unlocker 3.0.3] 릴리즈 버전 다운로드 [배포..

IT/Windows 2023.08.11

VM에 Mac OS 설치하기(Catalina 10.15.1)

일단 완성본 VM으로 윈도우, 리눅스 등등 많은 OS를 설치했었는데 이번에는 애플사의 맥 OS를 설치해보려고한다. 준비물 VM Workstaion 15.5 – https://blog.dalso.org/it/5527 UnLocker – 서버포럼 자료실 Catalina 10.15.1 ISO – 서버포럼 자료실 혹시 다운로드가 안되면 댓글.. 메일로 전송 설치시작 먼저 아까 다운받은 Unlocker먼저 설치해주자. 압축풀고 win-install.cmd를 관리자 권한 실행 자동으로 vmware사이트에 툴을 받아서 설치해준다. (시간이 꽤 오래걸리니 주의..) 이제 1차적인 준비가 완료되었으니 VM Workstation을 실행해서 VM을 생성해보자 차근차근 따라하면된다. 3번째 ISO에서는 아까 다운받은 카탈리나..

IT/Windows 2023.08.11

[Kubernetes] kubeadm을 이용해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축해보자

프롤로그 지난 포스트 "[containerd] containerd를 CRI 런타임으로 하는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축해보자" 에 이어서 이번엔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축해보겠습니다. 본 포스트에선 이미 CRI 런타임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kubeadm을 이용해 클러스터를 구축합니다. 만약 CRI 런타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위 포스트를 참고하여 CRI 런타임부터 설치해주세요! 추가로, 이 포스트는 개발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간단하게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 사용하셔서는 안 됩니다! 추가에 추가로, 가장 간단하게 로컬에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방법은 minikube를 사용하시거나 docker for mac 등을 사용하셔서 해당 프로그램..

고가용성 쿠버네티스를 구축해 봅시다!

쿠버네티스를 AKS(Azure), EKS(Amazon), GKE(Google)와 같은 관리형 서비스로 구성하는 것이 아닌 물리서버 위에 Hyper-v 라는 가상화 환경에서 고가용성 형태로 구성하는 형태로 구축하려고 합니다. 참고사항 해당 글은 Hyper-v 및 OS 설치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습니다. 가상머신에 설치한 OS는 Ubuntu Server 18.04.6 LTS 으로 진행하였고, 설치가 완료된 상태라 가정하고 설명합니다. 보통 쿠버네티스를 공부할 때, 관리형 쿠버네티스 서비스 말고 자신의 PC 리소스를 활용해서 master1개, woker node 2개 형태로 설치하여 실습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많이 연습합니다. 이번에는 사내에 있는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고가용성(HA) 쿠버네티스를 직접 구축해..

쿠버네티스(kubernetes) 설치 및 환경 구성하기

이번 블로그에서는 쿠버네티스 설치부터 기본적인 환경 구성까지 핸즈온 한다. 쿠버네티스는 기본적으로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로 구성된다.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는 최소한 1개씩 필요하다. 마스터 노드는 워커 노드에 Pod를 할당하고 Pod 안에 컨테이너를 띄우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쿠버네티스의 상태를 관리하고 여러 Pod 들의 스케줄링도 하는 등 쿠버네티스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워커 노드는 마스터 노드와 통신하면서 Pod를 할당 받고 그 안에 컨테이너를 띄워 유지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네트워크나 볼륨에 대한 기능도 컨트롤한다.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는 각 1개씩 생성할 것이며, 운영체제는 Ubuntu 18.04 LTS 를 사용하여 구성하도록 하겠다. 구성하려는 각 노드 별 하드웨어..

우분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설치하기

0.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개요 Virtual Box를 이용해서 3개의 VM을 만든다. 3개의 VM은 ubuntu 이미지를 이용해서 만들고, 각 VM은 프로세스를 2개 이상 배당 받도록 지정한다. 사용자 PC에서 Port 포워딩을 통해서 각 Node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VM(k8s Node) 들은 30.0.2/24를 CIDR로 사용한다. Service Network는 40.0.0.0/16을 CIDR로 한다. Pod Network는 50.0.0.0/16을 CIDR로 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대한 개요는 다음과 같다. 위의 내용대로 구현해서 클러스터가 정상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까지가 목표다. 1. 우분투 기본설정 업데이트하기 (마스터 / 워커 모두 진행) # shell sudo apt upda..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