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T 685

리눅스 awk 사용법

awk awk : 데이터를 조작하고 리포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awk는 GNU 버전의 gawk로 심볼릭 링크되어 있습니다 간단한 연산자를 명령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큰 프로그램을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awk는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쉘 스크립트에서 사용되는 필수 툴이며, 작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서도 필수입니다 Alfred Aho, Peter Weinberger, Brian Kernighan 3명이 만들었는데 이들의 이름 이니셜을 가져와서 awk라고 부릅니다 awk 프로그래밍 형식 awk 명령어를 입력한 다음, 작은따옴표로 둘러싸인 패턴이나 액션을 입력하고 마지막엔 입력 파일 이름. 파일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면 키보드 입력에 의한 표준 입력..

ssh 원격 명령 실행

한줄 명령 실행 여려줄 명령 실행 원격 스크립트 실행 별도의 쉘스크립트를 만들고 원격에 스크립트 해석기를 실행시키고 파이프나 리다이렉션으로 보내는 방법 Perl 스크립트를 ssh를 통해 실행 이것을 기초로 여러 서버에 명령을 내리려면 다음처럼 서버의 리스트를 만들고 리스트에 대해 루프를 돌면서 위의 명령을 서버별로 실행하면 될 것이다. 다중 서버에 스크립트를 실행 이렇게 하면 문제는 순차적으로 실행을 하기 때문에 한 서버씩 실행이 끝날 때 까지 기다려야 해서 속도가 늦고 나중에 결과를 보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그러면 ssh $m sh $m.log & 고치면 각 ssh 명령이 fork되어서 백그라운드로 돌고..

perl - ssh접속해서 원격명령 실행 및 결과 받아오기

#!/usr/bin/perl my($host, $username, $password); $host="221.xxx.xxx.xxx"; $username="ruis"; $password="xxxxxcxx"; use strict; use Net::SSH::Perl; my $ssh = Net::SSH::Perl->new($host); $ssh->login($username, $password); my($local_dir, $local_filename, $remote_dir, $remote_filename); #$remote_dir = "/home/ruis"; #$remote_filename = "passwd"; $local_dir = "/home/RR"; $local_filename = "_httpd"; ope..

Linux : Curl 명령어 예시, 예제, 방법

curl은 사용자 상호 작용 없이 작동하도록 설계된 서버에서 또는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줄 유틸리티입니다. curl을 사용하면 HTTP, HTTPS, SCP , SFTP 및 FTP 등 지원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curl은 전송을 재개하고 대역폭을 제한하며 프록시 지원, 사용자 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 튜토리얼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curl 옵션에 대한 실제 예와 자세한 설명을 통해 컬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Linux : Curl 명령어 예시, 예제, 방법 Curl 설치 현재 대부분의 Linux 배포 환경에는 curl 패키지가 미리 설치되어 있습니다. 시스템에 Curl 패키지가 설치되어 ..

[kubernetes] kubectl 명령어 정리

kubectl version --short 버전 정보 > kubectl version --short Client Version: v1.16.6-beta.0 Server Version: v1.17.12 kubectl api-resources 쿠버네티스에서 사용가능한 오브젝트 리스트 > kubectl api-resources NAME SHORTNAMES APIGROUP NAMESPACED KIND bindings true Binding componentstatuses cs false ComponentStatus configmaps cm true ConfigMap endpoints ep true Endpoints events ev true Event limitranges limits true LimitRang..

[ubuntu] lvm 볼륨 사이즈 확장하기.

ubuntu 초기 설치 시 디스크 구성할 때 사이즈를 적게 설정하여 확장이 필요했다. $ df -T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udev 7.8G 0 7.8G 0% /dev tmpfs 1.6G 1.4M 1.6G 1% /run /dev/mapper/ubuntu--vg-ubuntu--lv 11G 11G 32M 100% / 📝 vg-unbuntu--lv 볼륨 확장 하기. - 순서 - 1. 파티션 생성 2. LVM 설정 3. LVM 볼륨 확장 1. 파티션 생성 먼저 남은 용량으로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한다. $ sudo fdisk /dev/sda Command (m for help): n Partition number (4-128, default 4): 4 Fir..

[k8s]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시 runtime network not ready: NetworkReady=false

쿠버는 설치하고 클러스터 구성하는것도 너무 버겁다 ... runtime network not ready: NetworkReady=false reason:NetworkPluginNotReady message:docker: network plugin is not ready: cni config uninitialized 위와 같은 에러가 떴다면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oreos/flannel/master/Documentation/kube-flannel.yml 명령어 실행 후 systemctl restart kubelet kubectl get nodes 로 상태를 확인하면 ...? 나는 잘 됐다 출처 : [k8s]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시 ..

[Ubuntu 22.04] 시간대 변경 (UTC -> KST)

01. 시작하기 전에.. 집에서 굴러다니던 미니PC 하나가 있었는데, MS 윈도우를 쓰기엔 사양이 버거워졌다. 업무환경이 MS 윈도우가 반드시 필요해서 업무PC를 리눅스로 전환할 수는 없고, Hyper-V에 리눅스 가상머신으로는 뭔가 불편해서 그런지 익숙치 않아서 그런건지 잘 활용이 되지 않더라. 그래서 Ubuntu Server를 Minimal로 설치해서 이것저것 셋팅하고 있다. 오래만에 리눅스 서버를 셋팅하다보니 파일시스템부터 명령어까지 바뀐게 너무 많아서 공부할게 많더라..(어차피 나에겐 구글 검색이 있다!) 예전에도 리눅스 관련 공부를 할 때, 공부했던 내용을 간단하게라도 블로그에 포스트로 작성하면서 도움이 됬어서 기록 & 공부차 작성한다. 02. 현재 시간대 확인 우분투 서버(non GUI)를 설..

[Ubuntu] 우분투 ROOT 접속

Ubuntu ROOT 접속 방법 우분투는 설치 시 ssh 나 GUI에서 root 로그인 접속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ssh로 리모트 ubuntu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과 GUI 로그인 리스트에서 root 계정 활성화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OOT 접속 계정 비빌 번호 설정 sudo passwd root 명령으로 root 비밀번호를 생성합니다. ubuntu@ubuntu:~$ pwd /home/ubuntu ubuntu@ubuntu:~$ whoami ubuntu ubuntu@ubuntu:~$ sudo passwd root [sudo] password for ubuntu: New password: Retype new password: passwd: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 ..

우분투, root 권한으로 로그인하는 방법

아예 로그인을 root 계정으로 하고 싶다면, 본문을 본다. 단지 터미널에서 루트 계정으로 작업하고 싶은 거라면 sudo su 라고 명령을 내린 뒤 내 계정의 암호를 입력해 root 계정으로 진입하면 된다. 안형우 | 2009-08-26 작성 | 2023-01-22 수정 | 카테고리: 기타 | 태그: Ubuntu, Ubuntu Family | URL 단순히 root 권한으로 작업을 하고 싶은 거라면? (아예 root로 로그인을 하고 싶은 거라면 다음 단락부터 보세요.)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root 계정 로그인은 막아 뒀다. 그러나 터미널에 sudo 명령어 형식으로 쓰면 root 권한으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터미널에서 sudo nautilus 식으로 실행하면 root 계정으로 GUI 탐색도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