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768

스위치 설정

안녕하세요뚱보프로그래머 입니다.스위치에 기본 설정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 스위치에 설정 모드스위치의 모드는 이용자 모드, 관리자 모드 및 다양한 설정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콘솔이나 텔넷으로 스위치에 접속하면 이용자 모드(user mode)로 들어간다. 이용자 모드에서는 스위치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명령어만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 모드에서는 프롬프트가 다음처럼 '>' 로 끝난다. 스위치의 이용자 모드 프롬프트 관리자 모드(privilege mode)는 이용자 모드에서 enable 명령어를 사용하면 들어갈 수 있다. 관리자 모드에서는 스위치에 모든 일을 할 수 있다. 관리자 모드의 기본적인 프롬프트는 '#' 로 끝난다. 스위치의 관리자 모드 프롬프트 설정 모드(configuration mode)는 ..

스위치 동작

안녕하세요뚱보프로그래머 입니다.오늘은 스위치 동작 확인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 인접 장비와의 접속 상태 확인스위치는 포트가 많으므로 인접 장비와 제대로 접속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show cdp neighbors 명령어를 많이 사용한다. SW!에서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이 인접 장비명, 해당 장비와 연결된 SW1의 인터페이스, CDP 홀드타임, 장비의 기능(스위치, 라우터등), 모델명, SW1과 연결되는 상대 장비의 인터페이스명 등이 표시된다. show cdp neighbors 명령어 사용 - 전체 설정 내용 확인스위치의 설정내용 및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여러가지가 있다. 상세한 것은 각 주제를 설명할 때 보기로 하고, 여기서는 전체적인 명령어들에 대해서 알아본다. 현재 적용..

MAC 주소 테이블

안녕하세요뚱보프로그래머입니다.MAC 주소 테이블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라우터가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패킷을 라우팅시키는 것처럼 스위치는 MAC 주소 테이블을 보고 프레임을 스위칭 시킨다. 이번 절에서는 MAC 주소 테이블에 대해서 살펴본다. - 테스트 네트워크 구축다음 그럼과 같이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테스트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테스트를 위한 네트워크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이 동작한다.(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정한다) 결과적으로 SW1부터 SW4까지 4대의 스위치를 패곡선인 루프(loop) 형태로 연결하면, 스패닝 트리프로토콜에 의해서 스위치를 연결하는 포트중 하나가 차단되며, 프래임의 무한 루프를 방지한다.별도로 설정하지 않으면..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안녕하세요 뚱보프로그래머 입니다.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입니다. -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이더넷 스위치 관련 표준인 iEEE 802.1D 에는 트랜스패런트 브리징과 래피드 스패닝트리 프로토콜(RSTP, rapid spanning tree protocol)이 정의되어 있다. 트랜스패런트 브리징은 이더넷 스위치가 프레임을 수신하여 목적지로 전송하는 방식과 절차를 정의한다. 스위치가 수신한 이더넷 프레임을 참조하여 MAC 주소 테이블을 생성 및 갱신하고, 목적지로 전송할 떄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트랜스패런트 브리징(transparent bridging) 이라고 한다. 통신에서 '트랜스패런트(투명한)' 라는 용어가 자주 나오는데, 보통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하게 자동으로 동작한다' 는 의미로 사용된다. 트랜스패런트 ..

MAC 주소와 IP 주소의 관계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 입니다. 오늘은 MAC 주소 및 IP 주소의 관계에 대해서 적어봅니다. 이더넷에서 IP패킷이 목적지로 전송되기 위해서는 넥스트 홉 장비의 MAC 주소를 알아야 한다. 그림에서 IP 주소가 1.1.1.1인 R1에서 1.1.1.2인 R2로 핑을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ping 1.1.1.2' 라는 명령을 입력하면 R1은 자신이 전송하는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가 1.1.1.2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IP주소가 1.1.1.2인 장비의 MAC 주소는 알지 못한다. 목적지 MAC 주소를 모르면 이더넷 프레임을 만들 수 없다. 따라서 특정 IP 주소에 해당하는 MAC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이 필요하다. 목적지 IP 주소로 가기위한 넥스트 홉(next hop) 장비의 MAC 주소..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안녕하세요뚱보프로그래머입니다. 오늘은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입니다 이더넷 스위치 관련 표준인 IEEE 802.1D에는 트랜스패런트 브리징과 래피드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RSTP, rapid spanning tree protocol)이 정의되어 있다. 트랜스패런트 브리징은 이더넷 스위치가 프레임을 수신하여 목적지로 전송하는 방식과 절차를 정의한다.스위치가 수신한 이더넷 프레임을 참조하여 MAC 주소 테이블을 생성 및 갱신하고, 목적지로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트랜스패런트 브리징(tansparent bridging)이라고 한다.통신에서 '트랜스패런트(투명한)' 라는 용어가 자주 나오는데, 보통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하게 자동으로 동작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트랜스패런트 브리징은 RSTP와 더블어 I..

자격증 취득 방법

OpenStack을 위한 자격증이 나왔다고 하여.. 관심이 많아.. https://www.openstack.org/coa 이 Site에서 확인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 좀 더 찾아보니 6개월 이상 운용관리를 경험해봐야 딸 수 있다고 들었는데.. 아직은 무리니 천천히 생각해봐야 겠네요..[출처] OpenStack 자격증 ([콩아빠]지식,애니,게임,보험,헬드 유용한 정보가 함께하는 곳) |작성자 킥홍쿡

IT/COA(OpenStack) 2018.01.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