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768

정보보안기사 금일 Study 복습

정보사회의 특성/역기능- 재택근무는 늘어나고 신속정으로 정보교환이 이뤄짐- 홈뱅킹 및 사이버 주식거래로 인해 직접방문으 줄어듬- 정보전쟁이 육-해-군 에서 점점 해킹 바이러스 사이버테러로 변질 되감- 정보는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을 보장하지만 역기능 때문에 국가 안위까지 위협하고 있음- 역기능 문제점 : 개인프라이버시 침해, 해커와 바이러스, 불법적인 위변조, 컴퓨터 범죄행위, 정보시스템의 파괴의 의한 사회마비 등 정보보호(information security)- 정보보호는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인증성, 부인방지 보장을 위해 필요하다.- 물리적, 관리적 보호대책이 필요하다.- 기밀성(confidentiality) : 접근제어, 암호화를 통해 방지가 가능하다. : 인가된사람만(need_to_know) ..

anacron 이란

- anacron: cron은 정해진 시간에 작업을 수행하므로 만약 그 시간대에 시스템이 꺼져 있을 경우 해당 작업을 다음 주기까지 실행하지 않게된다. 하지만 anacron은 정해진 시간을 주기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작업이 정해진 시간 내에 실행된적이 있는지를 점검한 후 만약 정해진 시간 내에 수행한적이 없다면 해당 작업을 여유를 두고 실행한다. # /etc/anacrontab: configuration file for anacron# See anacron(8) and anacrontab(5) for details.SHELL=/bin/shPATH=/usr/local/sbin:/usr/local/bin:/sbin:/bin:/usr/sbin:/usr/bin 1 65 cron.daily run..

at이란

- at: cron이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정 한다면 at은 일시적으로 한번만 실행하는 작업을 설정할 수 있다. at의 실행과 작업은 atd라는 데몬이 관리한다.at 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 at [root@mail root]# at 16:35warning: commands will be executed using (in order) a) $SHELL b) login shell c)/bin/shat> mkdir /backup/hahahahat> --> Ctrl + D 키를 누르면 저장후 빠져 나오고 Ctrl + C 키를 누르면 취소한다.job 2 at 2008-07-31 16:35[root@mail root]# at -l2 2008-07-31 16:35 a root[root@..

Crontab이란

1. 정의 : 시스템에서 특정 시간에 어떤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려면 cron 을, 특정 시간에 단 한번만 수행하려면 at을 사용한다. 24시간 연속적으로 켜져있지않은 시스템에서 반복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anacron 을 사용한다. 2. cron: 시스템 운영시 필요한 일상적이고 주기적인 작업을 지정된 시간에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cron 을 사용한다. cron은 crond 라는 데몬으로 작동하며 리눅스를 설치할 때에도 기본적으로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1) /etc/crontab: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주기적 작업을 필드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주기적으로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 [root@mail root]# cat /etc/crontabSHELL=/bin/bashPATH=/sbi..

CentOS7 Version for Openstack Pike Install

Openstack Pike Version 입니다.Linux OS는 CentOS 7 Version 으로 진행 했습니다.정확하게 전반적인 이해를 두고 진행한 경우가 아니라 불필요한 설치 또는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하셔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 URL은 다음과 같습니다.http://naleejang.tistory.com/194http://cloudsemina.com/index.php?document_srl=466&mid=openstackhttps://docs.openstack.org/install-guide/index.html 구성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려고 했으며, https://docs.openstack.org/install-guide/environment.html 에서 권장 최소사양은Con..

IT/COA(OpenStack) 2018.01.14

허브, 스위치 및 라우터 차이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 입니다. 허브, 스위치 및 라우터의 차이에 대해 적어봅니다. 리피터, 허브, 브리지, L2 스위치, 라우터, L3 스위치 등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비들의 차이를 알아보자. 리비터와 허브를 레이어 1 장비라고 한다. 또, 브리지, 스위치를 레이어 2 장비, 라우터, L3 스위치를 레이어 3 장비라고 한다. 현재 리피터는 허브에게, 브리지는 스위치에게 그 역할을 알려주고 퇴장한 장비들이다. 또, L2 스위치는 그 하위 레이어 장비인 허브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L3 스위치는 L2 스위치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허브 대신에 L2 스위치나 L3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L2 스위치 대신에 L3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문제는 상위 계층의 장비일수록 가격이..

네트워크 실습

안녕하세요뚱보프로그램 입니다.네트워크 관련 실습을 해보려고 합니다.실습할 네트워크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스위치 SW1은 시스코의 카탈리스트 3750, SW2와 SW3은 카탈리스트 3560, 스위치 SW4는 카탈리스트 3550을 사용하였다. 실습 네트워크가 약간 복잡하게 보일 수 도 있으나, 이렇게 구성하면 스위치와 관련된 대부분의 이론은 실습으로 확인해 볼 수 있어 좋다. 본서 끝까지 동일한 구성을 사용할 것이므로 이론을 읽어가는 동안 곧 실습 네트워크에 익숙해 질 것이다. 실습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자. 각 스위치들은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 SW1의 F1/0/14, F1/0/15 포트는 스위치 SW2의 F0/14, F0/15 포트와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