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Windows 10(HOST PC)
VirtualBox
Windows server 2016(GUEST PC/AD Server)
Windows 10 (GUEST PC/AD Client)
[Windows server 2016]
2016 서버에 ad서버를 설치하기 위한 기본 세팅을 해주자.
네트워크 설정부터 해본다.
![](https://blog.kakaocdn.net/dn/OmDHu/btrEtx0jasv/geQ0yqPc0zPA1f8So7Xick/img.png)
어댑터에 들어가서
![](https://blog.kakaocdn.net/dn/oD8ss/btrEvmwbBVE/aYKcizpeNjUDM3hrwFXRFk/img.png)
IPv4를 눌러주고
![](https://blog.kakaocdn.net/dn/dhtOqz/btrEuFXj3Y9/yQ3eTYFx49GcnurNtuVmCk/img.png)
IP 고정 할당을 해준다.
아래 DNS가 루프백인 이유는 ㅠㅠ 스샷을 뒤늦게 찍어서...(ad설치하면 루프백 됨)
DNS는 8.8.8.8로 설정해준다.
이제 Windows server에 Active Directory를 설치해보자.
![](https://blog.kakaocdn.net/dn/ccM2DC/btrEvl46qde/c0yerYnCuH63oKVbiMD190/img.png)
대시보드에서 Add roles and features를 눌러준다.
![](https://blog.kakaocdn.net/dn/Ebe8A/btrEuFiIOvQ/joiutkh5UTZVjdEFnkH4NK/img.png)
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s를 선택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BkYIh/btrEtuQiqH1/t1tNoFKGMStg0wxok6pZSK/img.png)
팝업 창이 뜨면 Add Features를 누른다.
![](https://blog.kakaocdn.net/dn/uluVC/btrEvIFMeJR/rXkQc9ZvXnqfm9zklySgYK/img.png)
디폴트로 넘겨주고 설치 누르고 기다린다.
![](https://blog.kakaocdn.net/dn/Iy0tw/btrEvMg44HZ/UlqMNMSUdGQjHb9NP0vCQ0/img.png)
설치가 끝나면 대시보드 옆 깃발을 눌러준다.
![](https://blog.kakaocdn.net/dn/wz2sq/btrEuyYpiW0/RDdM3VU0R1mLgRwDePe3QK/img.png)
도메인 컨트롤러로 승격할거냐는 메세지가 있는데 눌러준다.
![](https://blog.kakaocdn.net/dn/beCjyL/btrEvNAimFt/We7dcvodnq6f9DQufNqyEK/img.png)
Add a new forest를 선택하고
루트 도메인 이름은 kon.ju 라는 2차 도메인 형태로 입력했다.
![](https://blog.kakaocdn.net/dn/0OmEE/btrEvnhyicp/uOtcouokxZkdxz8su5i3kK/img.png)
DSRM은 후에 AD에 문제가 있을때 복구 할 수 있는 비밀번호라고 함..
입력해주고 Next
![](https://blog.kakaocdn.net/dn/tIX8w/btrEs8UdPmo/xJuw4okdwQ0kk4M9tq0C4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RqvH7/btrEumxbfZq/Dnabg89DQaDUHOWe1fboZ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AKlRi/btrEupHckOI/b7NkrcYoyyiTBWbQUhdYS0/img.png)
다 기본값으로 넘기고 설치해준다.
![](https://blog.kakaocdn.net/dn/caBiHv/btrEtmkqfSn/iVIyc6A1h4ra8XWOIS1PSk/img.png)
재부팅 하면 이렇게 도메인명\계정 이름으로 변한 걸 알 수 있다.
앞으로 이걸로 로그인 하면 된다.
서버 설치가 되었으니 이제 유저를 추가해보자.
![](https://blog.kakaocdn.net/dn/zikEx/btrEtvBDHql/405PSMD6aKkIDEnzqFgi5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cdcwQ/btrEul55wz4/lqmMxJlK7pqJ77VQPEMHZ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9KzHP/btrEukMTgQh/IektYtR7pbOF2JnhTy11fk/img.png)
test라는 아이디를 부여했다.
![](https://blog.kakaocdn.net/dn/damrTn/btrEtlTlgqH/S2OGngbsykGXXakjpoV1y1/img.png)
비밀번호도 설정해준다.
이제 클라이언트에서 도메인으로 가입을 해보자.
[Windows 10]
![](https://blog.kakaocdn.net/dn/rv0ym/btrEtInb0C8/1QNR2CwkVUVgL6Rb0HGG2K/img.png)
윈도우 10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할 때
DNS서버를 AD서버의 아이피로 잡아준다.
![](https://blog.kakaocdn.net/dn/cxkNoj/btrEuzJLPHx/j7I8zDxFgbjJqaD8XuNNJ1/img.png)
시스템에서 컴퓨터 이름 옆에 있는 설정 변경을 눌러준다.
![](https://blog.kakaocdn.net/dn/XiCU2/btrEvIltD9y/N6z8ueQGBjIpz6sfaPp870/img.png)
네트워크를 눌러준다.
![](https://blog.kakaocdn.net/dn/Gh0Bn/btrEvNUA6pT/M4IVi0aTkK52rX00UKaaTK/img.png)
아까 ad서버에서 생성한 test 계정 정보를 입력해준다.
도메인도 설정한 대로 입력해준다.
![](https://blog.kakaocdn.net/dn/ccdKFv/btrEuW5AWW7/BGiadeTF87uyvO7kUef6OK/img.png)
컴퓨터 이름을(아무렇게나 적당히) 설정해주고
도메인을 써준다.
![](https://blog.kakaocdn.net/dn/bYDgid/btrEtM3WLzS/K5JRBgmhlbiCqckvvpft2k/img.png)
팝업창이 뜨면 한 번 더 써준다.
![](https://blog.kakaocdn.net/dn/br2jnX/btrEtyrjKJv/lWKB3bgbl0pzwM3Q3TSQJ1/img.png)
다시 시작하면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vZNjn/btrEup8f6Jg/xjoxmb6sMfmQ5YEjrkSzl0/img.png)
재부팅 하면 이 설정이 적용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jXMLN/btrEtI1OW1n/uQASzxZWjzXNLRV8IjKuZk/img.png)
기타 사용자>설정한 계정으로 로그인해준다.
(kon\생략 가능)
![](https://blog.kakaocdn.net/dn/p20PM/btrEt1tfHxq/kA5yDlhPK431Skl1AxV871/img.png)
cmd창에서 kon\test 계정으로 로그인 된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 [Windows Server] (1)Active Directory 설치 및 유저 등록하기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I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에 윈도우10 설치하기 (0) | 2022.08.09 |
---|---|
운영체제/Linux[Linux] SMB(SAMBA)를 이용한 AD Join ( AD LDAP)설정 (0) | 2022.06.13 |
[원도우] Windows Server 2016 영문서버 한글변경 (0) | 2022.06.10 |
Windows Server 2016 License Key 적용방법 (0) | 2022.06.10 |
[Windows Server 2016] 설치 및 기본 설정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