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T 687

root shell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 입니다. root shell 이란 ! root shell 1. SetUID의 위험성 어떤 사람이든 suid가 설정된 파일을 실행하면 그 파일의 소유자의 계정(ID)으로 그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1] cat 이 프로그램은 파일을 읽거나, 쓸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cat /etc/passwd 라고 하면 /etc/passwd 파일을 읽는다. 만약 nadream이라는 사람이 만든 file이 있는데 permission이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허가되지 않는다. -rw------- 1 nadream admin 45147 8월 19일 15:45 /tmp/passwd $ whoami guest $ls -al /tmp/passwd -rw------- 1 nadream admi..

쉘 스크립트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입니다. 오늘은 쉘 스크립트에 대해 알아봅니다. shell script 1. 설정 명령 라인을 특정한 파일에 저장하고 실행하면 그 명령들이 차례대로 실행된다. [root @edu00 /root]#cd /home/linux [root @edu00 linux]#cat > ex1.sh mkdir nadream touch nadream/file_ls clear ^d 실행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root @edu00 linux]#. ex1.sh 혹은 [root @edu00 linux]#source ex1.sh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root @edu00 linux]#ls nadream 2. 문법과 예제 1] 변수의 사용 변수(variabl..

shell이란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 입니다. 오늘은 shell 관련 내용입니다. Shell shell의 기능 shell이란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 정보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특정 명령어를 입력하면 우선 쉘이 접수하여 그 내용을 해석하고, 해석된 명령을 커널(kernel)에서 받아들여 실행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명령어 처리기(command interpreter)이다. 커널은 하드웨어와 인터페이스하는 부분이다. 커널은 하드웨어와 사용자 프로그램의 중간에 위치하며,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제어하여 프로세스 스케쥴링,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시스템 호출 인터페이스, 멀티프로그래밍 지원, 파일 시스템 서비스, 입출력 서비스 등의 기능을 사..

에디터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 입니다. 금일은 에디터 관련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Editor VI 1. 미리 알아두어야 할것들 1) vi 명령어 모드 3 가지 1] ESC 모드 2] 편집모드 3] 콜론모드(ex모드) 2) vi 명령어의 간단한 문법 (반복횟수)(편집명령)(반복횟수)(커서이동명령) 현재의 위치에서 커서 이동명령의 내용대로 문서의 임의위치로 이동하는 순간, 편집명령어의 내용이 수행된다. 3) ESC 모드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기호 G : 화일의 맨끝 ^ : 현재줄의 맨앞 (빈칸무시) 0 : 현재줄의 맨앞 $ : 현재줄의 맨뒤 % : 짝을 이루는 기호 확인하기 w : 다음 단어 b : 이전 단어 e : 현재 단어의 끝 글자 4) 여러가지 특수한 기호들 . : 한글자를 대표하는 기호 (dos..

RPM이란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 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패키지 rpm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RPM 1. RPM 정보 ftp.redhat.com ftp.bora.net ftp.rpmfind.net http://redhat.com 2. RPM 사용시 시스템 요구사항 RP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cpio 버전 2.4.2 이상이 필요하다. RPM은 리눅스에서는 물론이고 다른 유닉스 시스템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SunOS, Solaris, AIX, Irix, AmigaOS 등 여러 유닉스 시스템에서 모두 컴파일된다. 주의할 것은 서로 다른 유닉스 시스템에서 만들어진 바이너리 패키지는 호환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RPM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RPM을 소스에서 빌드하고 패키지를 컴파일하기 위한 gcc, make 등이 필요하다..

프로세스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 입니다. 오늘은 프로세스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Process 1. Process 개요 프로그램은 프로세스가 될 가능성을 간직한 채 디스크에 잠들어 있는 정보를 의미하며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이 메모리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시스템 내에서 실행되는 모든 프로그램은 프로세스로 알려져 있다. 리눅스는 init과 같은 시스템 유형의 프로세스, 유틸리티나 쉘, 서드파티 제품의 응용 프로그램 프로세스를 구별하지 않는다. 모든 프로세스는 동등하게 cpu 시간, 메모리, 디바이스 등과 같은 자원을 할당받는다. 커널은 이러한 시스템 자원을 배분하고 중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프로그램은 /bin/bash와 같은 실행될 수 있는 파일을 의미한다. 그리고 프로세스는 현재 실행되고 있..

부팅 프로세스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 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부팅 순서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BOOT PROCESS 1. 부팅 순서 1) 전원 ON 2) ROM BIOS 작동 CMOS의 정보를 구동하여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memory, hard disk, CPU check 등의 작업을 통해 시스템 이상 여부를 test한다. 3) Booting할 Drive 선택 booting device의 첫번째 실린더, 첫번째 섹터(HDD, Floppy, CDROM 등)를 읽는다. 일반적으로 partition 정보가 있는 partition table은 hard disk의 첫번째 섹터에 기록되어 있다. 전원이 들어왔을 때 partition을 선택해서 운영체제를 메모리로 올리기 위한 boot loader program이 여기에 존재한..

리눅스 계정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 입니다. 오늘은 리눅스의 계정에대 해서알아봅니다. User Management 1. 사용자 관리 개념 1) 리눅스는 멀티유저모드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이다. 리눅스는 개인용 서버 시스템이기 때문에 다중 사용자와 다중 작업 환경을 지원하는 운영체제이고 다중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여러 설정들이 필요하다. 다중 사용자 모드를 지원한다는 의미는 하나의 서버에서 각 사용자들에게 작업 공간을 할당하고 각각의 사용자들이 서버에 접속을 한다는의미를 지닌다. 2) user account(계정) 계정을 달리 user account라고 한다. 계정이란 리눅스/유닉스 시스템에 접근하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 자체를 말하고 ID와 패스워드 인증이 없이는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

파일시스템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입니다. 오늘은 파일시스템에 대해서 간략하게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디렉토리 개요 다중 사용자 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은 각 계정 사용자별로 파일을 관리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지원한다. 개인용 서버 시스템에서 수많은 시스템 파일들과 사용자 파일들이 한 곳에 있다면 파일 관리가 어려울 것이다. 단일 사용자라도 파일을 분할하여 관리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그리고 거의 모든 운영체제에서 계층적 트리 구조로 파일 관리를 한다. 1] 최상위 디렉토리 리눅스에서 최상위 디렉토리는 root 디렉토리라고 하는데 "/"로 표시한다. 2] "." 과 ".." 디렉토리 이들은 sub 디렉토리에만 존재한다. "."은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하고 ".."은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를 ..

여러가지 etc 명령어

안녕하세요 뚱보 프로그래머 입니다. 여러가지 etc 명령어 입니다. - command history history 입력했던 명령어에 대한 기록파일(history file)을 출력해주는 명령어로 DOS의 doskey와 비슷한 개념이다. 즉, 명령행에서 입력해 사용한 명령어들을 stack에 저장해놓은 다음 다시 그 명령어를 사용할 때 stack에서 꺼내 사용하는 것이다. 이 명령어는 같은 명령의 반복이나 잘못된 명령의 편집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연관된 파일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있는 .bash_history 파일이다. history 명령과 .bash_history 파일의 관계를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bash shell을 실행중에는 메모리에만 명령문 history를 기억하고 있다가 bash shell..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