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T/CLOUD(AWS,Azure,GCP,Docker) 78

[kubernetes] kubectl 명령어 정리

kubectl version --short 버전 정보 > kubectl version --short Client Version: v1.16.6-beta.0 Server Version: v1.17.12 kubectl api-resources 쿠버네티스에서 사용가능한 오브젝트 리스트 > kubectl api-resources NAME SHORTNAMES APIGROUP NAMESPACED KIND bindings true Binding componentstatuses cs false ComponentStatus configmaps cm true ConfigMap endpoints ep true Endpoints events ev true Event limitranges limits true LimitRang..

[k8s]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시 runtime network not ready: NetworkReady=false

쿠버는 설치하고 클러스터 구성하는것도 너무 버겁다 ... runtime network not ready: NetworkReady=false reason:NetworkPluginNotReady message:docker: network plugin is not ready: cni config uninitialized 위와 같은 에러가 떴다면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oreos/flannel/master/Documentation/kube-flannel.yml 명령어 실행 후 systemctl restart kubelet kubectl get nodes 로 상태를 확인하면 ...? 나는 잘 됐다 출처 : [k8s]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시 ..

VMware에 맥 os catalina 설치

[1] 테스트 환경 하드웨어 : 조립 데스크탑(cpu : i7-5820k, graphic : nvidia gtx 970, RAM ddr4 16GB, 보조기억장치 : 500GB SSD, 4TB HDD) OS : 윈도우 10 64bit software : VMware Workstation 16 PRO 가상 OS : Mac OS catalina [2] 사전 준비 (1) 가상화 지원 확인 및 설정 컴퓨터가 가상화를 지원하는지 확인 해야한다. https://leomoon.com/downloads/desktop-apps/leomoon-cpu-v/ LeoMoon CPU-V Introduction LeoMoon CPU-V is the only application on the Internet... leomoon.com..

[Kubernetes] kubeadm을 이용해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축해보자

프롤로그 지난 포스트 "[containerd] containerd를 CRI 런타임으로 하는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축해보자" 에 이어서 이번엔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축해보겠습니다. 본 포스트에선 이미 CRI 런타임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kubeadm을 이용해 클러스터를 구축합니다. 만약 CRI 런타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위 포스트를 참고하여 CRI 런타임부터 설치해주세요! 추가로, 이 포스트는 개발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간단하게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 사용하셔서는 안 됩니다! 추가에 추가로, 가장 간단하게 로컬에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방법은 minikube를 사용하시거나 docker for mac 등을 사용하셔서 해당 프로그램..

고가용성 쿠버네티스를 구축해 봅시다!

쿠버네티스를 AKS(Azure), EKS(Amazon), GKE(Google)와 같은 관리형 서비스로 구성하는 것이 아닌 물리서버 위에 Hyper-v 라는 가상화 환경에서 고가용성 형태로 구성하는 형태로 구축하려고 합니다. 참고사항 해당 글은 Hyper-v 및 OS 설치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습니다. 가상머신에 설치한 OS는 Ubuntu Server 18.04.6 LTS 으로 진행하였고, 설치가 완료된 상태라 가정하고 설명합니다. 보통 쿠버네티스를 공부할 때, 관리형 쿠버네티스 서비스 말고 자신의 PC 리소스를 활용해서 master1개, woker node 2개 형태로 설치하여 실습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많이 연습합니다. 이번에는 사내에 있는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고가용성(HA) 쿠버네티스를 직접 구축해..

쿠버네티스(kubernetes) 설치 및 환경 구성하기

이번 블로그에서는 쿠버네티스 설치부터 기본적인 환경 구성까지 핸즈온 한다. 쿠버네티스는 기본적으로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로 구성된다.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는 최소한 1개씩 필요하다. 마스터 노드는 워커 노드에 Pod를 할당하고 Pod 안에 컨테이너를 띄우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쿠버네티스의 상태를 관리하고 여러 Pod 들의 스케줄링도 하는 등 쿠버네티스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워커 노드는 마스터 노드와 통신하면서 Pod를 할당 받고 그 안에 컨테이너를 띄워 유지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네트워크나 볼륨에 대한 기능도 컨트롤한다.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는 각 1개씩 생성할 것이며, 운영체제는 Ubuntu 18.04 LTS 를 사용하여 구성하도록 하겠다. 구성하려는 각 노드 별 하드웨어..

우분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설치하기

0.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개요 Virtual Box를 이용해서 3개의 VM을 만든다. 3개의 VM은 ubuntu 이미지를 이용해서 만들고, 각 VM은 프로세스를 2개 이상 배당 받도록 지정한다. 사용자 PC에서 Port 포워딩을 통해서 각 Node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VM(k8s Node) 들은 30.0.2/24를 CIDR로 사용한다. Service Network는 40.0.0.0/16을 CIDR로 한다. Pod Network는 50.0.0.0/16을 CIDR로 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대한 개요는 다음과 같다. 위의 내용대로 구현해서 클러스터가 정상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까지가 목표다. 1. 우분투 기본설정 업데이트하기 (마스터 / 워커 모두 진행) # shell sudo apt upda..

쿠버네티스 : KUBERNETES 1.20 부터 DOCKER 사용을 중단합니다.

쿠버네티스 ( Kubernetes ) 프로젝트는 2020 년 12 월 8 일 (미국 시간) “Kubernetes v1.20 ‘을 공개하기 앞서 공식 블로그에서 “Do not Panic : Kubernetes and Docker “이라는 게시물을 게시하고 컨테이너 런타임으로 도커 사용을 중지 한다는 내용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쿠버네티스에 최적화된 APM - 1 개월 무료 사용 신청 KUBERNETES IS DEPRECATING DOCKER AS A CONTAINER RUNTIME AFTER V1.20 Source : https://kubernetes.io/blog/2020/12/02/dont-panic-kubernetes-and-docker/ 쿠버네티스 는 버전 v1.20 이후 Docker 에 대해 컨테..

[Docker] 도커 시작하기 - 1. 도커 설치하기

도커(Docker)란? 도커는 리눅스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프로세스 격리 기술들을 사용해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관리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컨테이너란? 도커 컨테이너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를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하는 완전한 파일 시스템 안에 감싼다. 여기에는 코드, 런타임, 시스템 도구, 시스템 라이브러리 등 서버에 설치되는 무엇이든 아우른다. 이는 실행 중인 환경에 관계 없이 언제나 동일하게 실행될 것을 보증한다. 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 도커란 무엇인가? (subicura.com) 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 도커란 무엇인가? 도커를 처음 접하는 시스템 관리자나 서버 개발자를 대상으로 도커 전반에 대해 얕고 넓은 지식을 담고 있습니다. 도커가 등장한 배경과 도커의 역사, 그리고 ..

리눅스에 도커(Docker) 설치하기

도커는 리눅스 뿐만 아니라 Mac이나 Window(10 이상으로 알고 있다.) 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맥이나 윈도우에서 보다는 리눅스 환경에서 도커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리눅스 환경의 PC에서 도커를 설치하고 직접 사용해 보자. 리눅스는 배포판 종류가 매우 많은데, CentOS, Ubuntu 등 대표적인 리눅스 배포판에서 도커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도커에 대한 기본 개념과 특징은 아래 글을 참조한다. [ 가상머신과 도커 : http://www.leafcats.com/152 ] 1. 공통 스크립트 도커는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에 대해 배포판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도커 패키지를 설치해 주는 스크립트를 제공한다. 아래 스크립트를 배포판 종류에 상관 없이 실행하면 도커 설치가 진행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