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762

du -c -h

리눅스 시스템 명령어 man page ¶ 리눅스 man page 시스템에서 1번 섹션은 shell 명령어의 도움말이 들어 있다. [편집] 관련문서 ¶ 쉘 스크립스 시작하기 명령어 사용의 진수 [편집] 명령어 목록 ¶ 경로 제목 adduser Linux man page : adduser - 시스템에 그룹이나 유저를 추가한다. alais alais : 명령어에 대한 별칭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at 스케쥴 관리 basename 디렉토리 명을 제거하고 파일명만 가져온다. cat linux man page : cat - 파일의 내용을 읽어서 표준출력한다. chmod linux man page : chmod - 파일의 권한을 변경한다. chown chown - 파일의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한다 cksum linu..

df 명령어

df 명령어 현재 사용중인 파일 시스템의 전체용량, 사용한 용량, 사용가능량 사용률, 마운트정보 등을 보여준다. 각각의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한다. df 명령어는 /etc/fstab 에서 파일시스템 정보를 참조, /etc/mtab 에서 마운트 정보를 참조한다. 기본 표현 용량단위는 KB(Kilo Byte)이며, 주로 서버관리자(root)가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사용형식 #1 [root@localhost ~]#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mapper/VolGroup00-LogVol00 149215404 6945704 134567584 5% / /dev/hda1 101086 10770 85097 12% /boot t..

chattr 명령어

chattr 명령어 September 29th, 2009 ruo91 No comments 리눅스에서 chattr 는 해당 파일을 일반 사용자가 수정할수 없도록 읽기 전용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chattr 명령어는 루트만 사용 가능하다. [root@ruo91 ~]# chattr Usage: chattr [-RV] [-+=AacDdijsSu] [-v version] files… 간단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chattr +i 파일 하면 읽기 전용으로 속성이 변경 된다. 읽기 전용 속성을 해제 하기 위해서는 chattr -i 파일 로 – 를 사용하여 해제 해주면 된다. hello.c 라는 소스 파일을 수정할수 없도록 chattr 명령어로 사용하고 lsattr 로 속성이 변경 되었는지 확인 한다. [root..

CentOS network 설정

CentOS Network 설정 CentOS에 있는 네트워크 카드명을 확인 한다. ifconfig -a : lo, eth0, eth1 등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에 네트워크 카드를 위한 설정이 저장 된다. #--- eth0 네트워크 카드에 고정 IP 설정시 DEVICE=eth0 BOOTPROTO=none HWADDR=00:24:1D:71:21:5C ONBOOT=yes NETMASK=255.255.255.0 IPADDR=203.231.27.22 GATEWAY=203.231.27.1 TYPE=Ethernet USERCTL=no IPV6INIT=no PEERDNS=yes #--- eth0 네트워크 카드에 DHCP 설정시 DEVICE..

CronTab 사용법

# crontab -l 현재사용하고 있는 crontab 파일 출력 # crontab -e crontab 파일의 수정(edit) crontab -e 로 수정이 안될경우 1. #csh 2. #setenv EDITOR vi 명령 수행후 수정함 root crontab file /etc/cron.d/logchecker : /var/cron/log가 최대 화일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초과하면 내용을 /var/cron/olog로 복사한다. /usr/lib/newslog : syslog daemon에 의해서 /var/adm 디렉토리에 생성되는 log file을 청소한다. Controlling crontab Access cron utility를 제어하는 두개의 file /etc/cron.d/cron.allo..

CentOS 기본명렁어

Centos 시스템 기본 명렁어 shutdown [옵션] [시간] [메시지] 옵션 -t n : 경고 메시지를 보낸 후 n초 후에 kill 시그널 보낸다 -h : shutdown시 halt를 실행하게 한다 -n : 디스크 동기화 동작의 수행을 금지한다 -r : 시스템 재 부팅한다 -f : 다음 부팅시 파일시스템 검사를 하지 않는다. -c : 이미 예약되어 있는 shutdown를 취소한다. 이 옵션을 준다면 시간인수는 줄 수 없다. 하지만 메시지는 사용자들에게 줄 수 있다. -k : 모든 동작을 제대로 수행하지만, 실제로 시스템을 종료하지는 않는다 shutdown -h 10 10분 후에 시스템을 종료한다. shutdown -r now 시스템 재부팅 한다. shutdown -c 예약된 시스템 종료 명령을 취소..

FTP 명령어

FTP 명령어 1. FTP 서버에 접속하기 ○ 방법 1 : ftp (도메인 네임) 혹은 (IP)를 입력한다. Ex) ftp ftp1.netscape.com ○ 방법 2 : ftp 후에 프롬프트가 “ftp>”로 뜨면 “open (도메인 네임) 혹은 (IP주소)” 를 입력한다. Ex) open ftp1.netscape.com ○ 프롬프트가 “ftp>”인 상태에서 여러 가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2. 디렉토리(Directory) 보기와 바꾸기 ○ FTP 서버에서 자료는 디렉토리 구조에 따 정리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컴퓨터에서처럼 디렉토리의 내용을 보거나 원하는 디렉토리로 바꾸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들은 “ftp>” 프롬프트 상태에서 “ls”명령어로 확인하고, ”cd” 명령 어를 사용하여 바..

tcpdump 명령어

tcpdump 사용법 tcpdump 기본 사용법 # tcpdump -i eth0 => 특정 ethernt(eth0) 으로 송수신 되는 데이터 패킷 덤프하여 확인 # tcpdump -i eth0 -w TCPDUMP => 특정 ethernet으로 송수신 되는 패킷들 파일에 저장 및 확인 # tcpdump -r TCPDUMP => TCPDUMP에 저장된 패킷헤드들을 확인 # tcpdump -i eth0 -c 10 => 특정 ethernet에서 지정한 개수만큼의 네트워크 패킷 덤프하여 확인 [[주로 사용하는 방법!!!]] # tcpdump -w tcpdump.log -s 1500 tcp port 22 and host 192.168.0.1 => 서버의 특정포트로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패킷 전체를 확인 이 명령의 ..

vi 명령어

※ 삽입 명령 a 커서 뒤에 입력 A 라인 끝에 입력 i 커서 앞에 입력 I 라인시작 부분에 입력 o 커서 있는 라인 밑에 입력 O 커서가 있는 라인 위에 입력 ※ 커서 이동 명령 h 왼쪽으로 커서 한 칸 이동 H 화면의 처음으로 이동 L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L 화면 끝으로 이동 e 다음 단어의 마지막으로 이동 E 커서를 공백으로 구분된 다음 단어 끝으로 이동 b 한 단어 뒤로 이동 B 커서를 공백으로 구분된 이전 단어로 이동 w 커서를 한 단어 뒤로 이동 W 커서를 공백으로 구분된 다음 단어로 이동 k 커서를 한 라인 위로 이동 j 커서를 한 라인 아래로 이동 O 커서를 라인의 시작으로 이동 $ 커서를 라인의 끝으로 이동 Enter 커서를 다음 라인 시작으로 이동 - 커서를 전 라인의 시작으로 이동..

winscp 란

목 차 1. 들어가며 2. WinSCP 소개 3. 설치하기 4. 특징 5. 고급활용 6. 트러블슈팅 7. 참고자료 및 링크 8. 마치며 1. 들어가며 메일함에 공개SW사용기와 관련해서 한통의 메일이 왔습니다. 공모한 글이 적으니 많은 참여를 바란다는 메일인데, 내용을 살펴보니 이번에는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공개SW의 사용기를 공모하네요. 아무래도 서버용 사용되는 공개SW는 많지만,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공개SW은 사용자가 다소 적기 때문에 참여자가 적은가 봅니다. 물반 고기반이라니 ㅎㅎ 귀도 솔깃하고, 블로그 포스팅도 안한지 오래되고 해서 저도 사용기 하나를 작성하기로 했습니다. 그 덕분에 제 PC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개SW를 한번 쭈욱 둘러보게 되었죠. Cygwin, Vim, FileZilla, Win..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