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762

Ubuntu 네트워크 설정(20.04, 18.04)

ubuntu 20.04 기준으로 네트워크 설정 방법 1. /etc/netplan/ 안에 있는 yaml 파일에 네트워크가 설정 되어 있다. - 처음 설치 시에는 아래와 같이 dhcp 방식으로 설정이 되어 있다. # This is the network config written by 'subiquity' network: ethernets: ens33: dhcp4: true version: 2 고정 IP로 변경 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변경을 해주면 된다. # This is the network config written by 'subiquity' network: ethernets: enp0s3: addresses: - 192.168.0.10/24 gateway4: 192.168.0.1 nameservers..

[VMWARE] ESXi 스토리지 datastore1 경로

vmware ESXi 스토리지 datastore1 경로 - 경로 /vmfs/volumes/datastore1 [root@localhost:~] df -h | grep datastore1 VMFS-6 430.5G 212.0G 218.5G 49% /vmfs/volumes/datastore1 [root@localhost:~] cd /vmfs/volumes/datastore1/Image [root@localhost:~] wget http://mirror.kakao.com/centos/8.2.2004/isos/x86_64/CentOS-8.2.2004-x86_64-dvd 1.iso Connecting to mirror.kakao.com (113.29.189.165:80) CentOS-8.2.2004-x86_ 100..

[리눅스] grep 했을 때 Binary file (standard input) matches 나올 때

파일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고자 할때 사용하는 grep 해당 파일을 텍스트 파일로 인식 하지 않고 Binary file 로 인식 할 때가 있다. $ grep "search_text" search_file.txt Binary file (standard input) matches 이럴 때는 -a (혹은 --text) 옵션을 이용하면 된다. $ grep "search_text" search_file.txt -a 출처: https://yoshikixdrum.tistory.com/202 [평범한 이야기들:티스토리]

Internal Server Error, 서버 500 에러는 어떤 경우에 발생하나요?

웹서버를 구동하거나 사이트를 방문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를 가끔씩 볼 수 있습니다. '500 Server error' 간단하게 이해하면 서버 에러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입니다. 그런데 앞에 있는 500이라는 숫자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아래는 이처럼 서버에서 발생 가능한 에러를 간략하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 서버 에러 메시지 관련 알아보기 서버는 에러 발생시 다양한 에러 코드를 반환합니다. 이때 500처럼 숫자로 반환하는 경우가 있으며 각각의 숫자는 에러마다 정의된 코드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Internal Server error가 500인 경우 다음과 같은 상황입니다. ! 500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 500 에러의 경우 서버의 동작에서 발생하는 에러 중..

IT/보안 2023.11.29

VMware ESXi - VM 복제하는 방법

VM을 하나씩 일일이 만들지 않고, 이미 만들어진 VM을 복제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vmdk 파일과 vmx 파일을 복제하고, 네트워크 설정만 해주면 됩니다. vmdk : 가상 시스템에서 사용할 가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컨테이너를 설명하는 파일 형식 vmx : 가상시스템 실행파일 1. 스토리지 메뉴에서 데이터스토어 브라우저를 클릭합니다. 2. 새롭게 만들 VM용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3. 복제할 VM의 vmdk파일과 vmx 파일을 새로만든 디렉토리에 복사합니다. 복제하려는 VM을 끄고 진행해야 합니다. 4. 복제가 완료되면 새로만든 VM을 등록합니다. 복제한 VM과 이름이 동일하게 설정되므로 헷갈리지 않게 이름을 바꿔줍니다. 5. 최초 실행시 I moved it, I copied it 을 물어보는데..

[ESXi] - 메모리 정보 확인

ESXi HOST 에 메모리를 증설하기에 앞서 기존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smbiosDump | grep -A 24 'Memory Device' 용량, 갯수, 슬롯 위치, 속도 등의 정보 확인 가능 The ESXi Shell can be disabled by an administrative user. See the vSphere Security documentation for more information. [root@xxxxxxxx:~] smbiosDump | grep -A 24 'Memory Device' Memory Device: #4352 Location: "A1" Manufacturer: "00AD00B300AD" Serial: "2CB562F0" Asset Tag: "0..

IT/개발 2023.11.28

[Ansible] Variables 요약

Ansible에서는 변수를 사용하여 공통된 내용 속에 시스템 간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음. 예> template에서 value 채우기 when을 사용하여 조건절에서 분기에 이용 group_by을 사용하여 변수 값에 따라 묶음 암호화 변수 사용 가능(vault) … 1. Naming Rule letters, numbers, underscores로 구성해야 하며, letter로 시작해야 함 # OK foo_port foo5 # NOT OK foo port foo.port 12 아래와 같이 YAML dictionary 지원됨 foo: field1: one field2: two 참조할 때는 아래와 같이 하면 됨(둘다 가능) foo['field1'] foo.field1 하지만, 되도록이면 전자를 택하는 것이 좋음..

playbook에 파일 포함하기 및 가져오기

플레이북이 길어지거나 복잡한 경우, 더 작은 파일로 나누면 관리하기가 좋다. 모듈식으로 여러개의 플레이북을 하나의 메인 플레이북에 결합하거나 파일의 작업 목록을 플레이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사용하면 일련의 프로젝트에서 play를 재사용하기 쉬워진다. 개념이해 : 가져오기, 포함하기 ansible에서 파일이나 role 등을 특정 playbook에서 읽어들일 때, import / include 2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 방법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 * import : static re-use role, task, playbook 등을 플레이북에 정적으로(statically) 삽입한다. ansible은 playbook을 처음 구문분석할 때 읽어들인 파일이나 role 등을 최상위 플레이북에서 작업을 실행..

[Ansible] Ansible SSH Jump : Public Bastion to Private Instance

✔️ 인스턴스 구성하기 본 실습의 아키텍처(Architecture)는 다음과 같다. Ansible -> Bastion 으로 SSH 접속할 때와, Bastion -> Private Instance로 SSH 접속할 때 다른 키 페어를 사용할 예정이다. 1. Ansible Controller에서 공개키 복사 (편의를 위해) controller에 생성되어있는 공개키 ~/.ssh/id_rsa.pub를 사용 [vagrant@controller ~]$ cat .ssh/id_rsa.pub ...키 내용... 2. AWS에서 [작업] - [키 페어 가져오기] 복사한 키를 붙여넣기 3. Private Subnet 생성 default vpc 에서 생성 4. Bastion Host로 사용할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좀..

[Ansible] 앤서블(Ansible) 개념과 설치/사용법 (w/ CentOS 7.6)

Content 1. Ansible 이란? 2. Ansible 용어 3. Ansible 설치와 초기 설정 (w/ CentOS 7.6) 4. Ansible 사용법 Ansible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직접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1. Ansible 이란? Ansible은 인프라 관리를 코드 기반으로 자동화하는 도구 입니다. Infrastructure as Code (IaC)를 들어보셨나요? 이름 그대로 IT 인프라를 코드 기반으로 자동 설치 및 구축/관리/프로비저닝 하는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IaC 도구들이 있기 전,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관리자들이 다양한 IT 인프라들에 직접 접속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셋팅해왔습니다. 수동으로요! 인프라를 구성하는 자원들이 많아질수록 수동적인 인프라 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