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주소나 UNC주소로 잡기도 불편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마치 드라이브연결한것처럼 나만의 드라이브 예를들면 Z: 나 X: 로 잡히게끔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눅스로 smb계정을 만들어 윈도우랑 공유를 시킨경우, 윈도우에서 이 계정을 위처럼 다른 드라이브로 잡아놓고 싶을때 유용하다.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70
[CentOS 7] Linux Samba 구축하기 / 윈도우와 공유폴더 만들기 / 리눅스 윈도우 폴더 공유
CentOS 7으로 윈도우와 공유 폴더를 만들것이다. 가상머신을 이용함으로, 네트워크는 내부망으로 볼 수 있다. (192.168.0.xx) 1. 다음 아래 과정들을 차례로 수행한다. (y버튼을 누르기 귀찮음으로 아래
ansan-survivor.tistory.com
위 과정을 거치면, 윈도우에서 리눅스의 디렉터리로 진입할 수 있다.
하지만 검색창에는 아래와 같을것이다. \\리눅스IP주소\공유디렉터리

이를 가볍게 드라이브로 잡아준다면 편할 것이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통으로 잡고싶은 경로까지 지정 후 Ease access - map as drive

2. 잡고싶은 드라이브 이름, 그리고 finish

(결과) 원하는 경로까지 Y: 드라이브로 잡힌다.

*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비즈니스 계정의 Onedrive를 사용할 경우 아래와 같이 잡을 수 있다.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447
[Microsoft OneDrive] 원드라이브 비즈니스 계정 내 네트워크 드라이브 (Z: X: Y:) 으로 연결시키기
PC의 로컬 용량보전을 위해 작업파일을 클라우드에 저장하면 좋을 것같다. 그래서 X: Z: Y: 형태로 맵핑 시킨다. 일반 네트워크 드라이브(NAS 드라이브) 맵핑방법은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
ansan-survivor.tistory.com
출처: https://ansan-survivor.tistory.com/873 [안산드레아스:티스토리]
'I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서버 2019 | 사용자 추가하는 방법, 그룹 추가하는 방법 (0) | 2022.10.09 |
---|---|
서버 티밍(teaming) & 본딩 (bonding) - 서버 랜카드 이중화 방식 (0) | 2022.10.09 |
윈도우7 dns flush하는 방법 (0) | 2022.09.26 |
[Windows Server 2016] Active Directory 구현 (0) | 2022.09.24 |
Windows Server 2012 R2 도메인 컨트롤러 제거 절차 (0) | 2022.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