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뚱보프로그램 입니다.
네트워크 관련 실습을 해보려고 합니다.
실습할 네트워크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위치 SW1은 시스코의 카탈리스트 3750, SW2와 SW3은 카탈리스트 3560, 스위치 SW4는 카탈리스트 3550을 사용하였다. 실습 네트워크가 약간 복잡하게 보일 수 도 있으나, 이렇게 구성하면 스위치와 관련된 대부분의 이론은 실습으로 확인해 볼 수 있어 좋다. 본서 끝까지 동일한 구성을 사용할 것이므로 이론을 읽어가는 동안 곧 실습 네트워크에 익숙해 질 것이다.
실습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자. 각 스위치들은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 SW1의 F1/0/14, F1/0/15 포트는 스위치 SW2의 F0/14, F0/15 포트와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 SW1의 F1/0/10, F1/0/11 포트는 스위치 SW3의 F0/10, F0/11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 SW1의 F1/0/12, F1/0/13 포트는 스위치 SW4의 F0/10, F0/11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 SW1의 F1/0/1 포트는 라우터 R1의 F0/0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F1/0/2 포트는 라우터 R2의 F0/0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나머지 장비들의 접속방식도 유사하며, 그림을 참조하면 된다.
실습에서 사용하는 각라우터들은 라우팅과 더블와 핑(ping) 정도의 테스트용 PC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위치 실습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라우터의 기종이나 지원 기능은 별로 중요하지 않으므로 적당한 장비를 사용하면 된다.
실무에서는 스위치간이나 스위치와 라우터 등을 연결할 때 필요한 케이블만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다양한 구성을 연습하거나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본서의 구서처럼 미리 여러 장비간 케이블을 연결한 후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필자는 과거 스위치가 고가였던 시절에 매일밤 다시 스위치 케이블링을 한 적이 있다.
낮에는 수업을 위한 구성을 하고 ,밤에는 시험을 준비중인 졸업생들을 위하여 시험용 구성을 하는 식이었다. 그렇게 많지 않은 장비였지만 손과 팔에 케이블들로 인한 상처가 아물날이 없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참 어렵게 일을 했구나하는 생각이 든다. 구성처럼 보든 장비간을 다 연결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필요한 인터페이스만 활성화시키게 했다면 아주 일이 간단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위에 내용처럼 테스트 환경을 꾸밀 수 없을 것이다. 장비없이도 이해할 수 있도록 많은 그림과 동작 결과를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