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클라우드로 전환해야 하나요?”라는 질문부터
회사 IT 인프라를 관리하거나 블로그·웹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클라우드 vs 온프레미스”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하지만 이 두 개념이 어떻게 다르고,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지 명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 기본 개념부터 정리
✅ 온프레미스(On-Premise)란?
- 자체 서버 구축/운영 방식
- 기업 내부에서 직접 IT자산 소유 및 관리
- 보안·제어에 유리하지만 초기비용/운영비용 높음
✅ 클라우드(Cloud)란?
- 외부 서비스 제공자(예: AWS, Azure)의 인프라를 빌려 쓰는 방식
- 초기 투자 적고, 유연하고 확장성 높음
- 다만, 데이터 주권·지속적 비용 부담은 단점
🧪 주요 비교표
항목온프레미스클라우드
초기 비용 | 높음 (서버 구매 등) | 낮음 (구독 형태) |
유지 보수 | 자체 인력 필요 | 공급업체가 관리 |
보안 | 내부 통제 가능 | 계약에 따라 외부 제공 |
확장성 | 제약 있음 | 유연하고 즉시 확장 |
장애 복구 | 백업 직접 관리 | DR(재해복구) 자동화 가능 |
📌 참고: 네이버 클라우드 공공기관 가이드라인
💡 요약 박스
✅ 온프레미스는 제어 중심 / 비용 부담
✅ 클라우드는 유연성 중심 / 속도·확장성 유리
✅ 결론: 조직의 규모, 보안 기준, 예산에 따라 혼합도 가능
🗨️ 마무리
많은 기업이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있지만,
온프레미스만의 장점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정답은 “무엇이 우리에게 맞느냐”**입니다.
💬 여러분은 어떤 방식이 더 맞는다고 느끼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728x90
반응형
LIST
'IT > CLOUD(AWS,Azure,GCP,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 Replication 구성에 따른 Read / Write 분리하기 (feat. AWS RDS Aurora) (0) | 2024.04.17 |
---|---|
정규표현식(Regex)의 개념과 기초 문법 (0) | 2024.04.11 |
챗GPT 사용법 (chatGPT 가입 방법, 프롬프트 작성 팁, API활용사례, 전망) (0) | 2024.02.02 |
[VMWARE] ESXi 스토리지 datastore1 경로 (0) | 2023.12.10 |
VMware ESXi - VM 복제하는 방법 (0) | 2023.11.28 |